국제 외교,통상,지정학,시사,시리즈/2025 글로벌 경제를 읽는 법(4)
-
《2025 글로벌 경제를 읽는 법》Ep.01 | 느려진 세계, 어디서 막혔나 — 2025 글로벌 저성장의 원인 분석
🌍 1. 세계는 왜 더딘가 — 성장이 꺾인 이유2023년부터 세계 경제는 눈에 띄게 속도가 느려졌다.코로나19의 충격을 딛고 반등할 것이라 기대했던 흐름은거듭된 충격 변수들과 함께 **‘회복 없는 성장’**이라는 단어로 수렴되고 있다.IMF는 2023년 세계 성장률을 3.0%,2024년은 **2.9%**로 하향 조정하며,“New Mediocre(중간 저성장)” 시대가 도래했다고 경고했다.📌 출처: IMF World Economic Outlook, 2024년 10월이는 단순한 경기 사이클이 아닌복합적이고 구조적인 저성장 체제로의 진입을 의미한다.💡 2. 고물가와 금리 인상의 여진인플레이션은 둔화되고 있지만,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실질 구매력과 소비 회복을 억제하고 있다.📈 주요 지표 흐름 (2022~..
2025.07.06 -
《2025 글로벌 경제를 읽는 법》 Ep.02 | 물가는 오르고 금리는 높고 — 실생활에 파고든 위기의 메커니즘
💰 1. 물가만 오른 게 아니다 — 체감경제는 이미 침체 중2022년 이후 물가 상승은 단순한 ‘경제 수치’가 아니라일상의 불편, 생활수준 하락, 소비 패턴 변화로 직결되었다.주요 지표 변화항목 2021년 2024년미국 CPI(소비자물가지수)1.4%3.2%한국 CPI2.5%3.6%세계 식료품 물가 상승률—+7.4% (2024년 기준)물가상승 요인은 다음과 같이 중첩됐다.코로나19 이후 풀린 유동성글로벌 공급망 병목지정학 리스크(우크라이나, 중동 등)에너지·농산물 가격 급등통화가치 하락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📌 물가라는 ‘숫자’보다,체감경기라는 ‘감정 곡선’이 먼저 꺾였다.🏘️ 2. 고금리 시대, 누가 가장 먼저 흔들렸나2022~2023년, 미국 연준은 11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다.한국은행, EC..
2025.07.06 -
《2025 글로벌 경제를 읽는 법》 Ep.03 | 에너지 전환과 원자재 전쟁 — 탄소중립 시대의 자원 쟁탈전
☀️ 1. 기후위기와 에너지 전환, 왜 지금인가?지구 평균기온 상승과 이상기후 빈도 증가 속에,세계는 2050년 탄소중립(Net Zero)을 공동 목표로 설정했다.이 목표는 단지 환경 문제가 아니라,경제·산업 시스템의 총체적 재편을 요구한다.주요 흐름항목 내용파리협정195개국, 지구 온도 상승 1.5℃ 이내 목표EU 그린딜탄소국경세(CBAM), 재생에너지 의무비율 확대미국 IRA3,000억 달러 규모 친환경 보조금 패키지중국 탄소중립 정책2060년 목표, 신재생 산업 대대적 투자📌 기후 문제는 ‘환경 이슈’에서 ‘경제 성장 모델’ 문제로 전환됐다.⚡ 2. 전환은 새로운 수요를 만든다 — 자원 수요의 폭발에너지 전환은재생에너지 발전과 전기차 보급을 핵심 축으로 한다.그 과정에서 핵심 광물에 대한 수요가 ..
2025.07.06 -
《2025 글로벌 경제를 읽는 법》 Ep.04 | 흔들리는 금융시장, 무엇을 지켜야 하는가 — 자산 변동성과 투자 생존 전략
📉 1. 시장은 왜 이렇게 불안정할까?2025년 현재, 글로벌 금융시장은높은 변동성과 낮은 확신의 시기를 통과하고 있다.주요 시장 흐름지표 2023년 2025년S&P 500 변동성지수(VIX)평균 19.4p평균 24.7p미국 기준금리5.25%5.25% (동결 유지)글로벌 FDI 유입1.5조 달러1.2조 달러 (–20%)신흥국 통화가치–평균 7~11% 하락📌 세계 경제는 소비·생산 둔화, 공급망 리스크, 지정학 갈등을 동시에 겪으며금융시장의 구조를 흔들고 있다.“불확실성이 문제가 아니라,불확실성이 구조화되었기 때문에 문제다.”🏦 2. 금리는 멈췄지만, 부담은 계속된다미국 연준(Fed)은 2024년 이후 금리를 동결하고 있으나‘인하’보다는 ‘장기 고정’ 신호를 계속 발신하고 있다.고금리 지속의 원인근원..
2025.07.06